입력:22/10/16수정:24/01/17

브레튼우즈 체제

7c700108-3f9c-43f3-8f7e-a7b5cf5ef510.png7c700108-3f9c-43f3-8f7e-a7b5cf5ef510.png

2차 세계대전 말 세계 자본주의 질서를 개편하기위해 미국 달러를 기축통화로 한 금본위제를 채택하기로 결정하였고, 이것을 브레튼 우즈 체제(Bretton Woods system, BWS)라고 부르게 된다.

당시 무기대여법등 수많은 군수물자를 유럽에 제공했고 이를 통해 종전 당시 미국은 세계 금의 70%를 보유하고 있었기때문에 미국 달러가 그 지위를 얻게된다.

고전적 금본위제와의 결정적인 차이는 각국의 중앙은행이 금 태환을 독자적으로 행하는 것이 아니라 미국만이 독점적으로 금 태환을 실시하는 것으로써, 타국 통화는 모두 USD와의 환전을 통해 간접적으로 금과 연결되었다

전후 서유럽 국가들은 재건을 위해 막대한 양의 돈을 찍어 유통시켜야 했는데, 자체적으로 금본위 제도나 은본위제도를 실행할 만큼의 금은이 국고에 없었다. 그리고 아직까지 신용화폐에 대한 개념이 없었으므로, 전시도 아닌 평상시에조차 금이나 은으로 태환이 안 되는 화폐가 신용을 얻으리라는 보장도 없었다.

전쟁 직후 이들이 발행한 지폐는 사실상 미국이 대리로 보증을 서준 셈. 미국은 미국대로 서유럽의 동맹국들을 쑥대밭으로 내버려두면 당시 떠오르는 강자였던 소련에 의해 전 유럽이 공산화될 위험이 있었고, 어느 국가의 통화도 아닌 방코르는 위험했기 때문에 미국 달러를 기축 통화로 민 것이다.

17c0c57c-6653-4cbe-8570-e8f5af252737.png17c0c57c-6653-4cbe-8570-e8f5af252737.png

닉슨쇼크

달러 기축통화의 역사는 인플레이션 수출의 역사

베트남 전쟁에 따른 막대한 전쟁비을 이유로 미국이 1971년 달러 금 태환제를 포기하면서 사실상 붕괴됐지만 여전히 국제금융의 기본틀로 남아있다.

브레턴 우즈 체제의 유지 조건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국내적으로 산업자본의 지위를 보장하면서 노동에 대한 일정한 양보가 가능해야 한다는 것5), 국제적으로는 미국이 상대적인 노동 생산성 우위를 지속해야 한다는 것, 그러면서도 달러의 가치를 급격하게 떨어지지는 않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문제점

과잉달러

브레턴 우즈 체제의 유지 조건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국내적으로 산업자본의 지위를 보장하면서 노동에 대한 일정한 양보가 가능해야 한다는 것5), 국제적으로는 미국이 상대적인 노동 생산성 우위를 지속해야 한다는 것, 그러면서도 달러의 가치를 급격하게 떨어지지는 않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미국 경쟁자들의 노동 생산성이 높아져서 주변국들이 미국에 대한 수출을 늘리면 그 주변국들에는 달러가 쌓이게 된다. 이는 달러의 신인도가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거꾸로 미국의 압도적인 노동생산성 우위가 지속된다면 세계시장에는 달러가 말라서 상품·서비스 거래가 위축되는 상황으로 연결될 것이다.

=> 중국이 국채를 사들였던 이유

달러의 신인도가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산금국인 소련에 큰 이득을 안겨줄 수 있다는 점 미국 국채를 보유하지않고 외환보유고로 막대한 금을 가지고있는 소련


토픽: 화폐,신용화폐
카테고리: 위키/경제
상태: 소행성